■ 진행: 노종면 앵커, 박상연 앵커 <br />■ 출연: 정철진 / 경제평론가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는 미국과 중국 간 무역 갈등이 관세 인상을 통한 이른바 경고사격에서 정밀 타격 양상으로 번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에도 선제공격에 나선 건 미국이고 타깃은 화웨이. 중국의 대표적인 거대 통신기업을 겨냥하고 있습니다. 중국은 첨단제품에 쓰이는 희귀광물 희토류 수출 제한을 반격카드로 고려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두 공룡 싸움에 우리 기업들이 유탄을 맞지 않을지 걱정입니다. 미국이 세계 각국을 향해 노골적으로 화웨이 보이콧에 동참하라고 요구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우리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만약 한쪽 편을 들어야 한다면 어느 편이 국가 이익에 부합할지 따져보겠습니다. 쉬워야 경제다, 더쉬운경제, 정철진 평론가 자리하셨습니다. 안녕하십니까? <br /> <br />[인터뷰] <br />안녕하십니까? <br /> <br /> <br />안녕하세요? 트럼프 대통령이 2주 전이었죠. 중국의 통신장비, 미국에서 판매하지 말라, 이런 행정명령에 서명을 했다고 하던데 그 타깃이 화웨이인 거죠? <br /> <br />[인터뷰] <br />그렇죠, 화웨이밖에는 없죠. 작년 5월 경에 이미 연방정부 내에서는 화웨이, 중국의 통신장비는 쓰지 않겠다고 선언했습니다. 그리고 작년 말이었었죠. 여기에서도 했었지만 화웨이의 창업주인 런정페이의 딸이죠, 멍완저우 CFO를 캐나다에서 전격 사건도 있었고요. <br /> <br />방금 말씀하신 대로 2주 전, 5월 15일날 트럼프 대통령이 행정명령을 통해서 앞으로 미국 기업은 중국의 통신장비업체와 거래하지 말라는 명령을 내렸는데요, 중국에. 화웨이밖에는 없거든요, 거래가 큰 게. 그러니까 화웨이와 거래하지 말라는 것을 대통령 명으로 공식적으로 국가 차원에서 이슈를 제기한 것이고요. <br /> <br />여기서 더 나아가서 미국은 우방국들에게 우방국들도 동참해라, 화웨이 제재에. 이렇게까지 이야기가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일단 화웨이가 어떤 기업인지부터 짚어봐야 될 것 같습니다. <br /> <br />[인터뷰] <br />일단 뜻을 봐야 되는데요. 이 뜻에 대해서는 아직도 갑론을박이 있습니다. 그 뜻이다, 아니다. 화웨이. 일각에서는 중국을 위하여라고 해석하기도 하고요. <br /> <br />중국 화, 중국처럼 세계를 중국화로 만든다는 의미, 그러니까 여러 가지 의미가 있다고 하는데 화웨이 측은 이런 것에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190529152645538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